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 과연 두나무 관련주로 지금이 저평일까?(ft.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안녕하세요? RichPark 입니다.

 

오늘은 두나무 지분 7.2%를 보유하면서 4대주주로 있는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을 해보려 합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나날이 오르면서 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인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두나무는 비상장 기업이라 해당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과연 우리기술투자는 그런 점에서 저가 포지션으로 볼 수 있을지 아래 순서로 살펴보겠습니다.

  1. 우리기술투자 사업소개(ft.무엇으로 돈을 버는가/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투자)
  2. 우리기술투자 재무분석(ft.실적 및 재무비율)
  3.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ft.두나무 관련주)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1. 우리기술투자 사업분석

1-1) 우리기술투자 사업소개

우리기술투자 로고
우리기술투자 로고 /출처 우리기술투자 홈페이지

 

우리기술투자는 1996년 중소, 벤처기업창원지원을 목적으로 설린된 신기술사업금융업 영위 회사입니다. ‘우리’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어 우리금융그룹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우리금융그룹과는 무관한 기업입니다.

 

신기술사업금융업을 영위하면서 기업들에 투자를 하면서도, 여신전문금영업법에 따라 400억원(2024년 12월 기준 현재 420억원) 자본금을 바탕으로 시설대여업과 할부금융업을 추가로 등록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 7,294억원 규모 자산을 보유한 회사로 성장했습니다. 대부분 수익(전체 수익의 98%)이 신기술금융수익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기업들에 투자했다가 엑시트(Exit)를 하며 수익 실현을 하거나, 보유 중인 기업 지분에 대한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이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면서 수익을 인식해왔습니다.

 

우리기술투자 엑시트
우리기술투자 엑시트 /출처 우리기술투자 홈페이지

 

먼저, APR이라는 국내 뷰티 유니콘 기업(2024년 12월 현재 코스피 시가총액 2조원)에 투자했다가 매각한 바 있으며, 국내 코스닥 상장사 포인트모바일(시가총액 371억원), 알약 및 알툴즈 소프트웨어로 유명한 이스트소프트(코스닥 상장사-시가총액 3,200억원 규모), 반도체 종합 솔루션 기업 테스나(현재 두산테스나=코스닥 5,363억원 시가총액) 등에서도 엑시트하며 수익을 실현했습니다.

 

이외에도 2차전지 기업으로도 유명한 에코프로(코스닥 9조6,120억원 시가총액), 제약사 메디톡스(코스닥 시가총액 9,444억원 규모), 의약품 사업을 영위하는 휴온스(코스닥 시가총액 2,929억원 규모), 부동산 정보 공유플랫폼 ‘직방’ 등 다양한 기업들에서 지분 투자 수익을 거두기도 했습니다.

우리기술투자 포트폴리오
우리기술투자 포트폴리오 /출처 우리기술투자 홈페이

 

2024년 12월 현재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는 한번씩을 들어본 부릉(배달 등 유통물류 브랜드), 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주)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두나무 산하에 있는 블록체인 개발사 ‘람다256(주)’에도 투자하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 리플 등 가상화폐가 급등하면서 비상장사 두나무(주)에 투자하고 있는 기업에 관심이 쏠리는 와중에 한화투자증권, 우리기술투자 등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1-2) 우리기술투자가 두나무 관련주로 괜찮을까?(ft.국내 1위 가상화페 코인거래소)

두나무 관련주 주가그래프_3개월
두나무 관련주 주가그래프_3개월 /출처 네이버금융

 

한화투자증권은 보통주 뿐만아니라 우선주까지 급등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 우리기술투자는 어땠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비트코인이 4년마다 맞이한 반감기(코인 발행수량의 감소 주기)가 올해 4월이었는데, 그로부터 6개월 뒤인 10월이 되자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11월 정도에는 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운영사인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기업들 주가까지 급등했습니다.

 

한화투자증권(보통주, 우선주), 우리기술투자가 그 수혜를 가장 많이 봤는데, 그 다음 12월에 비트코인이 급등하면서 11월말, 12월초에는 한화투자증권만 올랐고 우리기술투자는 되려 하락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다시 주가는 소강된 상태인데, 비트코인 주가가 업계 소식처럼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오를 경우, 이들 기업 주가 또한 다시 상승 모멘텀을 가져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지분율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지분율 /출처 두나무 2024년 3분기 분기보고서

 

사실 우리기술투자는 두나무(주) 지분 7.2%를 보유한 4대주주인데, 1~3대 주주는 상장사가 아니거나 개인입니다. 그러니 한화투자증권(두나무(주) 지분 5.94% 보유)과 우리기술투자가 그 수혜를 누리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다만, 우리기술투자가 보유한 지분이 한화투자증권보다 많기 때문에 더 큰 수혜를 보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12초중순에는 한화투자증권과 달리 우리기술투자가 상승 모멘트를 형성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대목입니다.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업비트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업비트 /출처 각사 홈페이지

 

아무래도 시장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한화투자증권보다 낮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분명 우리기술투자가 두나무 지분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고,

한화투자증권이 의사결정자가 더 많고(한화그룹 임원 등) 그룹 내 눈치를 보면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고점에서 엑시트를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

 

우리기술투자와 같이 기업 지분 투자가 전문이면서도 의사결정에 대한 기동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이는 기업이 더 수익실현을 잘 해낼 것이라는 점에서 더 큰 모멘텀이 생길 거라 기대해봅니다.

 

2. 우리기술투자 재무분석

2-1) 우리기술투자 실적추이

우리기술투자 실적추이
우리기술투자 실적추이 /출처 네이버금융

 

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주)와 우리기술투자의 관계를 알아봤으니, 이번에는 우리기술투자 재무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우리기술투자 실적추이를 살펴보니 2021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8,000억 원 가량 발생한 바 있습니다.

 

우리기술투자 2021년 사업보고서
우리기술투자 2021년 현금흐름표 /출처 우리기술투자 2021년 사업보고서

 

이는 2015년 두나무(주) 지분을 인수 후 보유 중이던 지분에 대한 평가이익이 7,765억원 규모로 인식되자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반대로 테라, 루나 코인 대폭락 사태가 발생하면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한 회의적인 시장 분위기로 코인들의 대규모 하락세, 이로 인한 가상화폐 관련주 주가 폭락을 맞았았습니다.

 

이로 인해 두나무(주)에 대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4,479억원이 발생핬고, 두나무(주)에 대한 우리기술투자 투자 규모가 80% 이상이었던 터라 4,300억원 규모 영업손실을 보기도 했습니다.

 

그럼 2021년과 2022년 주가는 어땠을까요? 2021년 4월에는 최근 5년 사이 최고점인 13,550원을 찍으면서 엑시트 당시 상승 모멘텀을 형성(비트코인 반감기인 2020년 5월로부터 6개월 후 시점)했고, 2022년에는 하향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다만, 2023년 말에는 다시 흑자 전환됐고, 2024년에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의 실적이 찍힐 것으로 보입니다.

 

한가지 걱정은 혹시 우리기술투자가 두나무(주) 지분을 매각한다고 발표할 경우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거에도 그런 적이 있기 때문에 지분 매각보다는 보유를 통한 주가 수혜를 꾸준히 누렸으면 합니다.

 

2-2) 우리기술투자 재무비율

우리기술투자 재무비율
우리기술투자 재무비율 /출처 네이버금융

 

이어서 우리기술투자 재무비율을 살펴보면 영업이익률은 흑자일 떄는 90%를 상회하면서 상당히 성공적인 수익을 보여왔고, ROE 또한 30% 이상으로 주주에게 이득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부채비율의 경우에도 20% 수준으로 자산건정성이 좋습니다. PER은 국내에서 증권금융주 저평가가 있기 때문에 다른 증권금융주와 비슷한 4~5배 수준을 보입니다. PER은 1배 미만으로 무난한 상태입니다.

 

3.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

3-1)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ft.두나무 관련주)

우리기술투자 주가그래프
우리기술투자 주가그래프 /출처 네이버금융

 

그럼 마지막으로 두나무 관련주,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치를 제시하면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2024년 12월 13일 장마감 기준 우리기술투자 시가총액은 6,829억원이며 주가는 8,130원에 형성돼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는 아래 공식으로 기업 적정 시가총액을 계산한 뒤, 주가전망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기업 적정 시가총액 = 과거 3년 평균 영업이익(또는 미래 영업이익치 추정치 평균) x 멀티플(또는 ROE, PER, 영업이익률)

우리기술투자의 경우, 영업이익은 2023년 1,539억원과 올해 3분기까지의 영업이익치 1,006억원의 평균인 약 1,272억원을 사용하겠습니다. 다만, 앞서 사업분석과 재무분석 파트에서 살펴봤듯, 우리기술투자 같은 지분 투자 회사는 본업이 투자이고, 보유 지분에 대한 평가이익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손익 자체가 당장 현금이 아니라 그때그때 평가된 회계 지표에 불과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제가 제시해온 기업 주가전망치와 적정 시가총액과는 달리, 참고 정도로만 적정 시가총액을 활용해야 하며, 보유 중이 기업 지분 포트폴리오 변동에 따라 언제든지 적정 시가총액과 주가전망치는 수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나무(주) 지분을 전량 매각하거나 비트코인 급락으로 두나무(주) 지분 평가액이 급락한다면,  우리기술투자 손익은 언제든 마이너스를 찍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정 시가총액과 주가전망치는 급락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2024년 12월인 현재, 우리기술투자가 두나무(주) 지분 7.2%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그 지분 평가액이 비트코인 급등으로 높아진 상황에서 적정 시가총액을 구해보겠습니다. 영업이익치는 보수적으로 1,272억원을 사용하기로 했고, 이제 멀티플은 PER 수준보다 높은 7배 정도로 주겠습니다.

 

그 이유는 대한민국 기업 평균 멀티플이 8~10배인 상황에서 증권금융주에 대한 멀티플은 5배 정도라는 점까지 고려하면 다소 높긴 하지만, 글로벌 트렌드가 가상화폐로 가고 있고, 국내 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지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분위기를 감안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한 우리기술투자 적정 시가총액은 약 8,904억원으로 계산되며, 이는 현재 수준보다 약 30% 높은 수준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치는 10,600원 정도로 기대해보겠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가상화폐 시장이 득세이면서도 두나무(주) 지분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 한해서 평가된 고점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것으로 우리기술투자 주가전망, 두나무 관련주로 지금이 저평가일까?(ft.1위 가상화폐 코인거래소) 작성을 마칩니다.

 

다시 한번 강조드리지만, 모든 투자판단의 최종적인 책임은 다른 사람이 아닌 여러분 자기자신이 지게 됩니다. 그러니 반드시 다른 전문 자료와 의견을 참고하시고, 본인만의 투자철학 하에 현명한 의사결정하시기 바랍니다.

 

RichPark 드림


  • RichPark 또다른 콘텐츠 보러가기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