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ichPark 입니다.
오늘은 최근까지 AI 칩으로 불리는 HBM(초고속 고대역폭 메모치) 공급업체로 유명한 글로벌 기업 SK하이닉스 주가전망을 해보려 합니다.
HBM 관련주로서의 가치 뿐만 아니라, 일본 반도체 산업이 미국과 손잡고 확장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낸드플래시 대기업 일본 키옥시아 상장이 SK하이닉스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해 SK하이닉스 주가전망을 해보겠습니다.
글을 진행순서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습니다.
- SK하이닉스 사업분석(ft.무엇으로 돈을 벌까/일본 키옥시아 상장 관련주)
- SK하이닉스 재무분석(ft.실적 및 재무비율)
- SK하이닉스 주가전망(ft.일본 키옥시아 상장 관련주)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1. SK하이닉스 사업분석
1-1) SK하이닉스 사업소개
SK하이닉스는 DRAM(디램) 및 NAND(낸드플래시)를 메인 제품으로 메모리 반도체 공급을 하며 수익을 얻는 기업입니다.
참고로, 디램은 휘발성이 있는 메모리 반도체이며, 낸드플래시는 비휘발성을 지닌 저장 기능에 특화된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SK하이닉스는 AI산업 부흥과 함께 초고속 고대역폭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 판매량의 급증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누리고 있습니다.
특히 HBM3(HBM 4세대 제품) 제품을 개발해 미국 엔비디아(NVIDIA)에 납품한 데이어서 확장버젼인 HBM3E도 납품할 예정인 등 AI칩 관련 글로벌 대기업과도 손잡은 상황입니다.
이와 함께 시스템 반도체 중 하나인 CIS(CMOS Image Sensor), 그리고 파운드리 사업도 일부 병행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매출액 기준 SK하이닉스는 전세계 DRAM 중 33.8%, NAND Flash 22.5%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SK하이닉스는 AI산업 초기 시장 성장과 함께 빛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아래에서 말씀드릴 일본 키옥시아 상장 가능성까지 매년 나오면서 더 수혜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1-2) SK하이닉스와 일본 키옥시아 상장과의 관계
이런 상황에서 SK하이닉스는 SPC를 통해 투자 지분 19% 및 전환사채 지분가치 15%를 더해 총 34%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쿄 증권거래서 상장 시 지분 4조7천억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키옥시아는 글로벌 3위 정도에 위치한 낸드플래시 기업입니다. 낸드플래시는 연산과 처리에 특화된 D램과는 달리 전원이 꺼져도 저장이 되어 데이터센터 등 저장 기능에 특화된 곳에 최적화된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다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관련주 관심도 소강에 따라 상장이 보류되어 다소 아쉬운 상황입니다. 또한 키옥시아는 2023년 4월부터 12월까지 순손실 2조3천억원이 발생하면서 아픈 손가락으로 남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2024년 들어서는 AI산업이 성장하면서 구글, 아마존 등 AI투자 기업들이 방대한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이터센터 증설에 나서면서 저장 기능에 특화된 낸드플래시도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낸드플래시 사업을 메인 사업으로 영위하는 키옥시아 또한 흑자전환되면서 일본 내에서도 다시 상장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앞으로 SK하이닉스에도 득이 될 것입니다. 지분을 매각할 경우 수조원 대 처분이익이 생기고, 보유만 하더라도 영업외수익이 회계상 반영되어 실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설명드린 부분이 SK하이닉스와 일본 키옥시아 상장 가능성도 SK하이닉스 주가전망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2. SK하이닉스 재무분석
2-1) SK하이닉스 실적추이
이어서 SK하이닉스 실적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계속 말씀드렸듯 AI산업 초기 성장기와 함께 낸드플래시, HBM 제품을 메인 사업으로 하는 SK하이닉스를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 또한 대폭 성장하여 2023년 대비해서는 흑자전환 뿐만 아니라 최근 4년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추이는 2025년, 2026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AI산업 자체가 아직 성장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시장점유율도 상위티어라서 매출과 영업이익을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2-2) SK하이닉스 재무비율
SK하이닉스 재무비율 또한 최상입니다. 영업이익률은 35%에 육박하는데, 이는 HBM 제품이 고부가가치 상품에다가 엔비디아 등 AI 선두기업이 아직까지는 SK하이닉스에 높은 가격에 제품을 사들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야말고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상태라 부르는 게 값이고 없어서 못사는 상황이라 그러합니다. 마치 삼성전자가 DRAM 제품으로 수십년을 벌어왔듯 SK하이닉스에게도 기회가 왔습니다.
다만, 경쟁사들이 등장할 수도 있고, 기술 경쟁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하며, AI산업이 성숙기에 진입할 경우에는 수익성이 꺾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은 성장기 중에서도 초기 성장기라 수익성과 실적은 향후 2년 정도는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채 비율 또한 100% 미만인 65% 수준으로 건전한 상태입니다.
2-3) SK하이닉스 현금흐름
-
SK하이닉스 과거 현금흐름
다음으로 SK하이닉스 과거 3년 현금흐름을 살펴보니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꾸준히 플러스를 보이면서 우량 기업의 전형을 보였습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꾸준히 마이너스를 보이면서 투자에 적극적인 모습이라 이 또한 긍정적입니다.
재무활동현금흐름의 경우에는 차입이 상환보다 높은 상황이라 플러스를 보이는데, 외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왔습니다.
-
SK하이닉스 최근 현금흐름
최근에는 영업활동현금흐름과 투자활동현금흐름을 동일한 양상이나, 재무활동현금흐름은 차입보다 상환이 많은 것으로 보아 자금여력이 좋아지면서 외부 자금 의존도를 줄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경우에도 역대 최고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약 9조1,357억원 규모입니다.
3. SK하이닉스 주가전망
3-1) SK하이닉스 주가전망(ft.일본 키옥시아 상장)
마지막으로 SK하이닉스 주가전망을 하면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2024년 12월 24일 장마감 기준 SK하이닉스 시가총액은 122조6,684억원이며 주가는 168,500원에 형성돼 있습니다.
이번 SK하이닉스 주가전망 또한 평소와 마찬가지로 아래 공식을 활용해 적정 시가총액을 구한 뒤 주가전망치를 제시하겠습니다.
- 기업 적정 시가총액 = 과거 3년 영업이익 평균(또는 미래 영업이익치 평균) x 멀티플(또는 ROE, PER, 영업이익률)
SK하이닉스 영업이익치는 아래처럼 미래 영업이익치 평균을 사용하겠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앞으로 AI산업 성장과 함께 SK하이닉스 실적 성장세도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SK하이닉스 2024년~2026년 영업이익치 평균인 31조2,231억원을 사용하겠습니다. 멀티플의 경우에는 PER 수준인 11배를 주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영업이익률 20~30% 수준이라는 점, AI산업이 각광받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가 독점에 가깝게 미국 엔비디아에 HBM 제품을 공급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보수적인 접근이라 생각합니다.
이에 따른 SK하이닉스 적정 시가총액은 약 343조4,541억원으로 계산되며, 이는 현재 수준보다 약 180%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른 SK하이닉스 주가전망치는 약 471,800원으로 계산됩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의견이자 기대치에 불과합니다.
그럼 이상으로 SK하이닉스 주가전망, 여전히 저평가인 이유(ft.글로벌 3위 일본 키옥시아 상장) 작성을 마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모든 투자 판단의 최종적인 책임은 다른 누구도 아닌 여러분 자기 자신에게 있음을 명심하시어, 전문가들의 자료와 본인만의 투자 철학 하에 현명한 의사결정 하시기 바랍니다.
RichPark 드림
- RichPark 또다른 콘텐츠 보러가기 –